지식 & 정보

뒤로가기
제목

기후에 따른 세계 각국의 전통의상

작성자 허브누리(ip:)

작성일 2008-04-11

조회 1769

평점 0점  

추천 추천하기

내용

 울긋불긋 화사한 봄 옷으로 갈아입은 온 산의 산천초목은
눈부신 햇살과 어울려 보는 이의 마음마저 설레게 하는데...

이처럼 빨리 찾아온 봄 날씨 영향으로 봄 옷을 구입하려는
고객들이 늘면서 세일 첫 주말 매출이 2007년보다 무려
5% 신장세를 보이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답니다.

이와 같이 우리 의상은 기후와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오늘의 주인공은 '기후에 따른 세계 각국의 전통의상'입니다.

먼저 일본으로부터 출발해 볼까요?

일본의 기모노는 남방의 개방적 요소의 기초 위에 일본
야마또 민족이 고온 다습한 여름과 한랭한 겨울을 나기 위한
대비책으로 작은 체격상의 결함을 감추고 보충하고자 위한
수단으로 개발된 전통의상이랍니다.

기모노는 크게 다섯 가지로 나뉘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방한의 목적으로 만들어진 하오리와
여름에 즐겨 입는 유카타가 대표적이며 하오리의 경우 남자는
예장용이지만 여자는 예장용이 아니랍니다.

중국은 치파오라는 전통의상이 있는데, 선이 자연스럽게 흘러
내리는 듯 하고, 모양이 우아한 치파오는 중국 여인들이 특히
즐겨 입는 복장이랍니다.

이 치파오는 16세기 중엽, 만족의 민족 의상이었다고 하는데
이 의상의 근원지였던 중국의 화북지역은 춥고 비가 적게 오기
때문에 밭농사 중심의 생활을 하였답니다.

동북부 지역에 살고 있던 소녀가 어느 날, 우연한 계기로 입궁을
하였는데, 궁중의 질질 끌리고 넓은 치마가 입기 불편하여 단추가
많이 달린 긴 팔 원피스로 고쳐 입고 다녔다고 합니다.

그것이 유행하여 지금의 치바오가 되었는데, 이 치바오는 옷감도
적게 들고 밭농사 하기에도 적합하여 많은 여성들에게 인기가
있었다고 합니다.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입는 전통의상은 일종의 종교복으로...
 
이슬람에서는 의무적으로 하루에 다섯 번씩 기도를 해야
하는데 그에 가장 편한 의상이 바로 원피스처럼 보이는 타브를
입고 구트라라는 직물을 머리에 쓰는 것이랍니다.

머리에 구트라를 쓰는 이유는 사막의 모래 바람과 열기를
막기 위함으로 이러한 복장이 오래 되다 보니

이슬람에서는 구트라를 벗는 여성은 성적으로 탈선하도록
유혹한다고 간주하여 사회 혼란의 원인으로 인식한다고 합니다.

남아메리카의 멕시코의 복장에 대해 알아 볼까요?

멕시코는 아열대 고원기후로 낮에는 늘 봄 날씨처럼 온화
하지만 해발 2,240m나 되는 높은 곳에 있어 밤에는 스웨터를
걸쳐야 할 만큼 싸늘하답니다.

그러한 영향인지 독특한 복장이 발달했는데...

남자들은 셔츠와 바지를 입고 후아라체라고 하는 가죽으로
된 샌들을 신는다고 합니다.

또, 낮에는 태양이 굉장하기 때문에 그것을 막기 위해
솜브레로라고 하는 커다란 모자를 써 햇볕을 피한다고 합니다.

흔히 비가 올 때 쓰는 우비는 멕시코에서 유래가 되었다 할
정도로 유래가 깊은데, 밤에 춥거나 비가 올 때는 레보조라고
하는 판쵸의를 입는답니다.

이 판쵸의는 비를 피함은 물론이고 보온성도 대단하여
가장 멕시코의 대표적인 전통의상이라고 손꼽는답니다.

피지의 전통의상은 어떨까요?

피지의 전통의상은 섬유재질이 아닌 마시라고 하는 나무
껍질로, 태평양 일대의 국가라면 전통적인 의상이라고 하는데

이 의상은 특별한 의식 때나 선물 받는 것으로 이 때문에
소유하는 것만으로도 굉장한 영광이라고 합니다.

피지는 해양성 기후의 영향으로 일년 내내 포근하고 기후의
변화가 심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1년 내내 비가 오는 시기가 있어서 비를 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뽕나무 껍질을 이용한 의상이 발달하였답니다.

하지만 이 의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굉장한 노력과 정성이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누구나 가지고 있는 대중적인 의상은
아니라고 합니다.

대체적으로 피지인들은 조개 껍질이나 나뭇잎을 엮어서
허리에 두르는 것으로 흔히 우리나라 사람들이 ‘인디언’
하면 떠올리는 그런 복장의 의상을 주로 하고 살아 가고
있답니다.

허브누리(www.herbnuri.co.kr) &(주)지식을 다함께

첨부파일

비밀번호
수정

비밀번호 입력후 수정 혹은 삭제해주세요.

댓글 수정

이름

비밀번호

내용

/ byte

수정 취소

비밀번호

확인 취소